▶문학 literature/신춘문예관련정보

작가에게 들어본 신춘문예 ‘오해와 진실’

글싹천사 2018. 4. 19. 16:14






작가에게 들어본 신춘문예 ‘오해와 진실’


작성 [2007-12-21 (금) 15:46]


""


“당선은 첫발일 뿐… 가야 할 길 멀어”


‘신춘문예의 계절’이다. 프로 작가를 꿈꾸는 문학청년들은 이맘 때면 으레 설렘과 기대, 허탈과 좌절의 ‘열병’을 치른다. 서울신문(14일)을 비롯, 대부분 언론사들의 신춘문예는 이달 중 공모를 마감한다.


▲ 2007 서울신문 신춘문예 소설 부문 예심을 하고 있는 소설가 윤대녕(왼쪽)씨와 문학평론가 백지연씨.
서울신문포토라이브러리  

지난 서울신문 신춘문예의 경우 시·소설·동화·희곡·시조·평론 등 6개 부문에 모두 3500여편이 응모했다. 응모자 1383명 가운데 6개 부문에서 6명의 당선자를 배출했으니 경쟁률은 무려 230대1이 되는 셈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문학청년들 중에는 신춘문예에 대해 몇 가지 ‘오해 아닌 오해’도 갖고 있다.‘신춘문예에 당선되면 작가의 길이 활짝 열린다.’라든가 ‘신춘문예용 작품이 따로 있다.’는 등.





신춘문예에만 당선되면 작가의 길이 탄탄대로일까. 2006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열세살’로 당선된 김이설씨는 “일단 평가를 받았다는 사실에는 무척 기뻤다.”며 “그러나 등단 이후 원고청탁 등의 ‘러브콜’이 많을 줄 알았는데 생각만큼 안돼 심적 부담을 느꼈다.”고 밝혔다. 김씨는 특히 “등단하기 전에는 오로지 당선에만 신경을 쓰면 됐는데, 등단하고 나니 아직 가보지 않은 길인 데다 채워야 할 부분도 많아 더 힘들다.”고 털어놨다.

1991년 서울신문 문학평론으로 등단한 하응백씨도 “신춘문예 당선은 일종의 작가의 면허장과 같은 것인 만큼 끝이 아니라 시작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따라서 신춘문예 당선이 꼭 작가로서 성공을 담보하는 것이 아니고 어린아이가 첫발을 내디디는 것에 불과한 셈이다.

이른바 ‘신춘문예용 작품’이 따로 있다는 얘기는 사실일까. 신춘문예 지망자들은 종종 ‘신춘문예용 작품’이 정형화돼 있는 것으로 믿는다. 예컨대 단편소설의 경우 ‘첫 문장을 짧게 써라.’,‘첫 페이지가 재미없으면 심사위원들이 읽어보질 않는다.’는 등의 얘기들이 ‘미신’처럼 떠돈다. 이에 대한 대답도 ‘글쎄요.’다. 신춘문예 당선자들은 한결같이 “신춘문예용 작품이 따로 있을 수 없다.”고 입을 모은다.1998년 ‘8월의 식사’로 당선된 강영숙씨는 “신춘문예 공모용 작품이 따로 있을 수는 없다.”며 “일단 읽혀야 하니까 기본이 돼 있느냐 아니냐가 가장 중요한 요건”이라고 밝혔다.

하응백씨는 “비문(非文)·오문(誤文)이 들어가면 바로 탈락하는 만큼 기본 문장 테크닉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1996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풀’로 당선된 하성란씨는 “예전에는 본심 심사위원의 취향을 고려했다는 말도 있었는데, 실제로는 그런 것이 없다.”며 “기성의 냄새를 풍기는 안정적인 작품보다 새로운 실험성 강한 작품이 보다 좋은 점수를 얻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1994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붉은 닻’으로 등단한 한강씨는 “한편으로 모든 것을 보여줘야 하는 만큼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며 “무엇보다 글에 글쓴이의 에너지나 치열함이 느껴져야 한다.”고 말했다.

요컨대 신춘문예를 지망하는 문학청년들은 기성 작가의 ‘예쁜 모방품’보다 아마추어로서 조금은 투박하더라도 작품에 대한 치열한 진정성으로 승부하는 게 중요하다는 얘기다.

김규환기자 khkim@seoul.co.kr


                                                                       

                                                                               유모 : 글싹천사